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머리
2. 筆記雜錄 소재 북경기록의 시기별 양상
3. 사적 조망을 통해 본 筆記雜錄 소재 북경기록의 의미
4. 마무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句麗 관련 기록 연구
백산학보
2024 .08
『임진기록壬辰記錄』을 통해 본 정탁鄭琢의 임진전쟁 기억과 전쟁기록
국학연구
2023 .07
필기잡록류 저술의 지리·지역 정보 활용 방안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8 .07
李睟光(1563~1628)과 鄭經世(1563~1633)의 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沈守慶의 『遣閑雜錄』에 나타난 자기서사적 양상
고전과 해석
2019 .01
朝鮮時期 文人 雜錄을 통해 본 中國小說批評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北京學의 시각에서 본 조선 후기 燕行錄Ⅱ‒日記를 중심으로–
동양학
2024 .07
定齋 柳致明의 『關西遊錄』에 나타난 현실인식 ?‘犯越’과 ‘田制’를 중심으로?
온지논총
2020 .01
耳溪 洪良浩의 燕行錄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2016 .09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논집
2017 .01
연행 지식·정보의 수집·정리 및 확대·재생산 -연행록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18 .01
설문 조사를 통한 경극에 대한 인식과 치료 가능성 연구
중국어문논총
2020 .01
『승정원일기』 병자호란 기사의 정본화 연구- 1636년 12월 14일 ~ 30일 -
韓國史學史學報
2018 .01
근대 중기 문헌자료의 구어 실현과 문어 실현의 언어 비교 연구-『계튝일기 서궁녹(권1,2,3)』과 『서궁일기』비교-
건지인문학
2021 .01
한글연행록의 수집 현황과 활용 방안
열상고전연구
2016 .04
18세기 한글본 연행록 연구 -정녀묘와 천주당 견문기록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6 .02
‘燕行錄’과 知識・情報 ― 지식・정보의 수집과 기록방식
대동문화연구
2017 .01
民國時期 步軍統領衙門의 존속과 폐지 -북경 경찰기구 통합의 관점에서-
중국사연구
2019 .01
『병자일기』의 독서 시간과 서사성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0 .01
當代中国京剧创新现状分析—试论當代中国京剧的创新與传承
외국학연구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