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태현 (원광대학교) 김단희 (원광대학교) 문연자 (원광대학교) 임규상 (원광대학교) 우원홍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한의병리학회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발행연도
2016.6
수록면
150 - 156 (7page)
DOI
10.15188/kjopp.2016.06.30.3.150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xtract of Broussometia kazinoki Rhizodermatis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geopoong, diuresis, hwalhyeol. In the present study, the apopto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Broussometia kazinoki (MBK) were investigated. Cell viability of A549 cells was measured by MTT assay. Apoptosis-related protein and MAPK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Chromatin condensation of A549 cells was stained with DAPI. MBK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of A549 cell. Based on DAPI staining, MBK-treated cells manifested nuclear shrinkage,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Treatment of A549 cells with MBK resulted in activation of the caspase-3, -8, -9 and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In the upstream, MBK increased the expressions Bax and Bak,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and augmented the Bax/Bcl-2 ratio. MBK-induced apoptosis was accompanied by sustained phosphorylation of JNK, p38 MAPK and apoptosis signal-regulating kinase (ASK)-1. These results suggest that MBK induced apoptosis in A549 cells through Bcl-2 family protein-mediated mitochondria/caspase-3 dependent pathway. In addition, MBK increased the activation of ASK-1, which are critical upsteam signals for JNK/p38 MAPK activation in A549 cancer cell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