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진한의 대위군현 교섭
Ⅲ. 진한의 대서진 교섭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진한왕과 사로국의 관계
사학연구
2015 .12
진한의 범위에 대한 재검토
한국고대사연구
2018 .09
신라의 辰韓 정체성과 ‘馬韓-고구려’ 인식의 함의
영남학
2023 .06
진변한 24국 위치 비정
한국상고사학보
2022 .11
中國先秦, 秦漢時期道路遺蹟과 性格에 대한 일고찰
호서고고학
2019 .01
사로국의 성장과 유이민
신라사학보
2020 .12
북부 규슈 마한 교류 네트워크의 변천 및 구조 연구 - 야요이시대 후기~고훈시대 전기 마한토기를 중심으로 -
호서고고학
2024 .06
익산 평장리 출토 동경으로 본 고조선과 전북
고조선단군학
2022 .08
문헌 기록으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와 익산
마한백제문화
2023 .06
삼국지 한전에 기술된 한반도 중부 지역
역사와 담론
2019 .10
백제 초기의 영역과 마한
한국사연구
2023 .09
백제 멸망 이후 馬韓 인식의 변화 양상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삼국지』한전(韓傳)의 `삼한(三韓)`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017 .03
청주지역 마한계 취락과 조영 세력
한국고대사연구
2022 .03
궁예의 ‘(後)高麗’ 국호 제정과 ‘一統三韓’의 지향
신라사학보
2023 .12
삼한시기 논쟁의 맥락과 접점
한국고대사연구
2017 .09
문헌 속 호남 지역의 마한과 백제
호남고고학보
2022 .10
고대 동아시아의 삼한-삼국 계승의식의 정립 과정
역사와경계
2016 .06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Laws of Silla from the 3rd-5th Centuries
Korea Journal
2017 .09
위만조선 시기 조선 유민의 남하
고조선단군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