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에 나타난 법제 제정 과정
III. 律의 성격과 ‘定律’의 의미
IV. 令의 제정방식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Stele of Koguryŏ in Ji’an with Regard to Koguryŏ’s Reorganization of Sumyoj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7 .08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동방학지
2016 .12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遼東’과 고구려의 國際秩序 인식 -「廣開土王碑」文에 보이는 국제질서 인식의 역사적 배경-
한국고대사연구
2019 .09
고구려 碑에 대한 고찰
목간과문자
2017 .06
중국학계의 광개토왕비 연구 성과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15 .09
중국의 廣開土王碑拓本제작 및 연구
한국사학보
2019 .11
한성백제와 낙랑벽화고분-‘百濟’의 등장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4 .02
「昌寧拓境碑」의 ‘四方軍主’와 新羅의 天下觀
한국고대사연구
2021 .06
한국 비담사상 - 최치원의 비문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22 .02
5세기 고구려의 영남 북부 지역 지배에 관한 새로운 접근 - 영남 북부 ‘本 高句麗 郡縣’ 기록의 이해 -
고구려발해연구
2022 .03
창녕 진흥왕비 비문 판독과 문법-어휘적 고찰
중국조선어문
2023 .11
廣開土王碑와 長壽王
목간과문자
2016 .06
文字化된 權力의 意志 - 4∼5세기 고구려 碑文에 보이는 사회 · 정치적 단면-
동아시아고대학
2017 .01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연구
2019 .03
金毓黻의 廣開土王碑 연구에 나타난 고구려사 인식 변화
고구려발해연구
2015 .03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9
「集安高句麗碑」의 建立 목적과 守墓制
목간과문자
2020 .12
石碑文의 공론장으로서의 기능과 글쓰기 - 陶菴 李縡의 석비문을 중심으로 -
漢文古典硏究
2022 .12
파주 紺岳山 古碑에 남은 銘文
목간과문자
2022 .12
石泉 申綽의 碑學에 대한 一考
민족문화
2021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