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13~14세기 고려 지식인의 시대 인식
2. 고려 지식인들의 지향과 자기정체성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ersonal Trajectories and National History: Why the Goryeo People Went to the Mongol Empire and How They Lived Ther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4 .12
고구려인가 기자조선인가: 몽골제국에서 고려 역사상의 경합
역사와현실
2022 .09
13∼14세기 요동 고려인 세력과 고려 왕실의 충돌
한국사연구
2018 .06
고려-몽골(원) 관계사 연구를 위한 노력과 종합적 시각의 모색
역사학보
2025 .03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역사와현실
2018 .09
고려는 어쩌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인식됐을까
역사와현실
2021 .09
고려 충선왕의 직물생산 전략 연구
한국사연구
2018 .03
한국사에서 13~14세기를 지칭하는 시기 구분 용어의 맥락에 대한 검토
역사학보
2024 .12
해방직후 고려 국호론의 전개와 고려 표상
역사와현실
2018 .09
가사 不傳 고려가요의 생성연대와 수용양상
우리어문연구
2022 .09
고려시대 자기인식의 형성과 문명의식(文明意識)의 변화
동양학
2020 .01
고려가 몽골제국에 바라는 것 - 김구(金坵)의 외교문서에 표현된 원종 대 양국관계의 재구성 -
한국사연구
2022 .12
『고려사』에 인용된 原典의 句節
역사교육논집
2016 .01
고려를 찾은 동아시아 고승
동양고전연구
2020 .01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쟁점 연구
역사교육
2017 .09
Perception of Goryeo Celadon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06
李穀의 『稼亭集』에 수록된 大元帝國 역사 관련 기록 분석
역사학보
2018 .03
고려후기 사여관복(賜與冠服) 행례와 예제(禮制) 질서의 형성
역사와현실
2020 .12
Remembering Goryeo, a Dynasty that was Open to the S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06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그 성격
역사비평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