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문제제기
Ⅱ. 도급과 파견의 구분에 대한 판례의 변천
Ⅲ. 최근 대법원판결을 통해서 본 판례법리의 구조 및 문제점
Ⅳ. 비판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3420 판결
모회사인 사업주가 업무도급의 형식으로 자회사의 근로자들을 사용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위장도급으로서 사업주와 근로자들 사이에 직접 근로계약관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0다9370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7. 10. 선고 2005다75088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7. 22. 선고 2008두4367 판결
[1] 원고용주에게 고용되어 제3자의 사업장에서 제3자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제3자의 근로자라고 할 수 있으려면, 원고용주는 사업주로서의 독자성이 없거나 독립성을 결하여 제3자의 노무대행기관과 동일시할 수 있는 등 그 존재가 형식적, 명목적인 것에 지나지 아니하고, 사실상 당해 피고용인은 제3자와 종속적인 관계에 있으며, 실질적으로 임금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2. 28. 선고 2011도34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2다96922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업종별 도급과 파견의 구별에 관한 담론 : KTX 여승무원에 관련한 업무도급의 적격성 여부 및 근로자파견관계의 성립 여부를 중심으로 - 대상판결 (1) 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1다78316 판결 (2) 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2다96922 판결
산업관계연구
2015 .12
韓·日 철강산업 사내하도급의 특징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노동법논총
2017 .08
지역노동시장의 불법파견 실태와 개선방안: 천안·아산지역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19 .06
파견관계 판단기준의 재정립
노동법학
2024 .06
도급과 근로자파견 판단요소에 관한 소고 – 조선산업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노동법논총
2022 .04
사내하도급·불법파견 판단의 법경제학적 이해 - 대법원 2015.2.26. 선고 2010다106436 판결을 중심으로 -
경희법학
2016 .01
파견과 도급 구별 기준에 관한 비판적 검토 : 대상판결: 광주고법 2016.8.17, 2013나1128로
노동법논총
2018 .08
‘근로자파견성’ 판단 기준 재정립의 모색 - 판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19 .07
파견과 다른 형태의 제3자 관련 노무공급에 관한 구별기준과 법적 문제
법학연구
2018 .01
하도급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집행수단
경영법률
2015 .01
최근 일본 근로자파견법 개정 내용과 시사점
노동법논총
2015 .12
묵시적 근로계약관계 법리와 불법파견을 중심으로 본 KTX 승무업무의 법적 성질 : 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1다78316 판결
법학평론
2016 .04
도급과 파견의 구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과 쟁점 : 대상판결: 서울고등법원 2017.2.10. 선고 2014나49625 등(병합)
노동법논총
2017 .08
하도급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동법정책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2018 .09
중국의 근로자파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법학
2019 .01
근로자파견관계 당사자 변경과 사용사업주의 직접고용의무
외법논집
2019 .01
협력적 노사관계법 체계 하에서의 원하청관계 재검토 : 산업안전보건체계 상의 근로자 개념을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2016 .04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 결정요인 패널분석
기업경영연구
2018 .01
파견노동 금지규제의 필요성과 법적 과제: 일본 파견법 30년의 폐해와 노동권 파괴
민주법학
2016 .11
A Theoretical Analysis of Korea’s Subcontracting Price Adjustment Schem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