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위장도급과 고용관계
Ⅲ. 불법파견과 고용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9. 7. 12.자 99마628 결정
[1]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와 사이에 위수탁관리계약을 체결한 아파트 관리업자의 대리인인 관리소장이 관리사무소에서 근무하게 된 직원들과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면 그 직원들은 아파트 관리업자의 피용인이라고 할 것이므로, 아파트 관리업자와 위수탁관리계약을 체결하였을 뿐인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가 직원들에 대하여 임금지급의무가 있는 사용자로 인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7. 4. 11. 선고 2006누1397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3420 판결
모회사인 사업주가 업무도급의 형식으로 자회사의 근로자들을 사용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위장도급으로서 사업주와 근로자들 사이에 직접 근로계약관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9. 18. 선고 2007두22320 전원합의체 판결
[1] 구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2006. 12. 21. 법률 제80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3항은 근로자파견이 같은 법 제5조에 정한 파견의 사유가 있는 경우라거나 또는 같은 법 제7조에 정한 근로자파견 사업의 허가를 받은 파견사업주가 행하는 근로자파견에 해당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2. 11. 14. 선고 72다895 판결
본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라 함은 사용자로부터 자기근로의 대상으로 금품을 받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것이므로 운전사가 동시에 운전면허 받은 자의 지입차주로서 자기계산하에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본조의 근로자가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7. 10. 선고 2005다75088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6. 25. 선고 2002다56130,56147 판결
[1] 직업안정법 제33조 제1항에서 원칙적으로 근로자공급사업을 금지하면서 노동부장관의 허가를 얻은 자에 대하여만 이를 인정하고 있는 것은 타인의 취업에 개입하여 영리를 취하거나 임금 기타 근로자의 이익을 중간에서 착취하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자유의사와 이익을 존중하여 직업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도649 판결
[1] 기존 기업 중 일부 생산부문의 인적 조직이 이른바 `소사장 기업`이라는 별개의 기업으로 분리된 경우 그 소사장 기업에 고용된 채 기존 기업의 사업장에서 기존 기업의 생산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기존 기업의 근로자로 보기 위해서는 그가 소속된 소사장 기업이 사업주로서 독자성이 없거나 독립성을 결여하여 기존 기업의 한 부서와 동일시할 수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파견법상 직접고용에서 쟁점과 해석 - 현대차사건의 판결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15 .07
프랑스의 파견제 및 사내하청의 규율에 관한 연구
강원법학
2011 .06
파견법 상 직접고용의무를 둘러 싼 법적 쟁점 재검토
노동법논총
2018 .04
도급과 파견의 구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과 쟁점 : 대상판결: 서울고등법원 2017.2.10. 선고 2014나49625 등(병합)
노동법논총
2017 .08
중국 근로자파견 허용범위의 문제점 및 개선안
노동법논총
2020 .04
‘근로자파견성’ 판단 기준 재정립의 모색 - 판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19 .07
사내하도급과 근로자파견의 구별기준과 법적 효과의 문제
노동법논총
2014 .08
산업안전보건법상 사내하도급에 관한 사업주 책임
노동법논총
2012 .08
僞裝都給과 不法派遣에 있어 雇傭關係 : 대상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05. 4.28 선고 2004가합8635 판결(㈜아이캔 사건)
노동법학
2006 .06
‘파견과 도급의 구별’이라는 틀의 재검토
노동법연구
2011 .03
위법파견의 법률효과
노동법포럼
2012 .10
중국의 근로자파견에 관한 법적연구
중국법연구
2010 .01
중국에 있어서 근로자 파견
노동법논총
2012 .04
고용과 사용이 분리된 근로관계와 근로자파견의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노동법포럼
2009 .04
파견근로자에 대한 사용사업주의 직접 고용의무 고찰
강원법학
2016 .06
근로자파견관계의 판단방식과 기준
노동법연구
2007 .06
파견과 도급의 구별기준에 관한 독일과 한국의 판결 비교
노동법포럼
2013 .10
비정규근로와 법 : 기간제ㆍ파견근로관련 대책방안 모색
서강법학
2006 .10
중국의 근로자파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법학
2019 .01
고용형태의 다양화와 노동기본권 :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간접고용근로자를 중심으로
노동법학
200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