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빗방울 강론
엄마와 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 빗방울의 얼굴 외 2편
황해문화
2020 .09
빗방울들이 집결한다 외 2편
황해문화
2015 .03
[신작] 빗방울, 바다
시조시학
2022 .03
교황 프란치스코의 2014년 한국 방문 중 강론과 연설에 대한 수사학적 논의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6 .05
시노달리타스를 위한 설교학적 실천
가톨릭신학
2022 .12
正祖의 세손시절 강론 문답 <春坊故事>에 대하여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0 .01
[STORY_Chiang Mai] Gloomy Chiang Mai 치앙마이, 떨어지는 빗방울에 담긴 낭만
트래비 Travie
2024 .09
크리소스토무스의 『세례 강론』: 의식의 구조, 신학적 의미, 교육적 가치
한국교회사학회지
2022 .12
문선명(文鮮明)의 종교적 배경과 『原理講論』에 나타난 그의 사상 분석
신학과 복음
2017 .06
桂窩 成一濬의 漢詩 考察
동양한문학연구
2021 .01
천주가사 <텬당강논>․<디옥강논>의 敎理 詩歌化 양상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창조신앙의 역사, 그 교회사적 고찰 : 초대교회를 중심으로
Origin Research Journal
2023 .10
신라의 유가 교육과 『논어』
목간과문자
2021 .06
역위건착도 의 ‘역지삼의’에 나타나는 윤리관 ‑ 춘추번로 의 삼강론과 비교하여‑
동양학
2024 .04
牛溪 贈答詩에 나타난 道學的 性向 硏究
온지논총
2015 .01
退溪詩를 통해 본 ‘學問’의 의미
퇴계학논집
2017 .01
군주를 위한 경학 — 『월사집』 소재 〈서연강의〉의 『논어』·『맹자』 강론에 대한 검토
국학연구
2022 .07
신라 하대의 화엄경신앙결사 - 망자를 천도하는 경전의 힘 -
한국불교학
2015 .01
개념으로서의 건강: 비판적 고찰
생명연구
2017 .11
崛山祖師 梵日 新傳
韓國史學史學報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