룻은 자신의 고국인 모압에서 ‘유다 베들레헴’에서 온 마흘론이라는 사람과 첫 번째 국제결혼(초혼)을 하였고, 남편과 사별한 이후에는 남편의 고국인 ‘유다 베들레헴’으로 이주하였으며, ‘유다 베들레헴’에서 남편의 친척인 보아즈와 두 번째 국제결혼(재혼)을 하였다. 룻은 오늘날로 말하면 바로 결혼이주여성인 것이다. 본고는 성경의 인물, 룻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과연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방법으로 그들과 함께해야 하는지 성찰해 보고자 한다. 룻의 생애를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그 생애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살아 가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현황을 점검하고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이념적으로는 다문화주의를 표방하면서도 정책적으로는 동화주의에 가까운 정책을 펼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고, 다문화정책의 많은 혜택이 한국인 배우자와 결혼한 외국인 이주여성들에게만 편중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결혼이주여성들이 마치 다문화정책의 수혜자인 것처럼 논의되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실상 그들의 삶에는 적지 않은 문제가 자리한다. 이에 본고는 매월 법무부가 제공하는 출입국?외국인 정책통계월보 2014년 5월호와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3년 12월 연구총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룻의 생애에 근거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되짚어보는 이 작업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 스스로가 한국사회에서 과연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지 성찰하고, 우리 모두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극복하고,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며, 그들이 한국사회에 제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 룻의 생애와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비교 성찰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도모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며, 그들의 실제적인 삶에 걸맞은 적절한 정책 방향과 비전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Native of Moab, Ruth got married to Mahlon, who came from Bethlehem in Judah. Hers is an “international marriage” of her time. When her husband died, Ruth moved to her husband’s native country, Bethlehem in Judah. Here she met and got married to a kinsman of her husband, Boaz. Her second marriage was also an international marriage. Ruth was a “marriage migrant women” as we say today. The present paper looks into this Biblical character, Ruth, to illuminate how we should perceive and live together with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day. For this purpose, we will recapitulate Ruth’s lif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her life,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what tasks there are. Korea’s multicultural policies expound multiculturalism on the ideological level, and yet are often criticized for being close to assimilationism. There is critique that the many benefits of multicultural policies are partial towards foreign 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While the reality i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are beneficiaries in Korea’s multicultural policies, there exists a paradoxical reality that they are faced with various issues in life. Therefore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Korea Immigration monthly report, May 2014 issue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World of Marriage Migrant Women’s Lives, the Research Series, December 2013 Issue, by the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see the related tasks on these issues. The current re-evaluation of the lives of marriage migrant women based on the life of Ruth is aimed to find wisdom on how they will be able to identify their worthy status in the Korean society, and we can overcome stereotypes and prejudice towards the marriage migrant women. Based on the findings, I hope the paper will contribute itself to legalizing a social support system to help them settle in the Korean society. Comparing the life of Ruth and the life to the married migrant women, I hope to promote a justifiable perspective towards marriage migrate wome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make a foundation for appropriate directions for proper policies and vision suited for their practic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