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海洋史‘와 ‘海域史‘,그리고 ‘海事史‘
Ⅲ. 동아시아 고대 항로 문제
Ⅳ. 장보고의 대두 배경 문제
Ⅴ. 나말여초 서남해 해상세력 성격론
Ⅵ. 고려시대 宋商과 高麗商 문제
Ⅶ. 조선시대 海禁과 空島 문제
Ⅷ.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양관할권의 확대에 대한 해양강대국과 연안국의 대립 : 영해제도의 역사와 현대적 의의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1 .12
Notes on World History and Maritime History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015 .01
'도서·해양 문화' 연구와 인류학
도서문화
2009 .06
사회적 공간으로서 해양세계의 문화적 의의와 특성 : 해양민과 해항도시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0 .10
중국해양사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 대만학계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중국학
2015 .01
국사교과서에 반영된 해양관련 서술의 검토와 몇 가지 제언
고조선단군학
2014 .12
최근 10년래 한국학계의 해양사 연구 성과와 전망
도서문화
2019 .12
麗·宋 시기의 海上航路의 형성과 활용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4 .10
고려시대 전남지역 해양사의 전개와 의의
도서문화
2018 .12
홍성원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바다
문학과환경
2006 .12
한국의 해양영웅 張保皐와 李舜臣의 비교 연구 : 장보고축제와 진남제의 역사적 맥락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2 .05
해양수도 부산의 글로벌 위상과 도시발전 방향 모색: 메논 이코노믹스 컨설팅의 평가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0 .10
New Approaches to Pre-Modern Maritime Networks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016 .01
고려시대의 해양문화와 국사교과서 서술
한국사학보
2004 .03
한국 해양사의 전환 : ‘海洋의시대’에서 ‘海禁의 시대’로
도서문화
2002 .08
장보고, 말하다 외 4편
시조시학
2016 .12
高麗時代 宋商 貿易의 再照明
역사교육
2007 .12
해사문화교섭과 승선사관 해사커뮤니케이션 역량 교육 방향 연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6 .04
브로델의『지중해』와 ‘해역세계(Maritime World)’
역사와 세계
2012 .12
A Corpus-based Analysis of Maritime Legal Documents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