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들어가며: 바흐친과 로트만의 자아 모델
2. 바흐친의 내적 발화: 비공식적 의식과 내적 대화성
3. 로트만의 자기커뮤니케이션: 인격의 재구성과 통사론적 축약
4. 바흐친과 로트만: 자기를 초과하는 인격 vs 자기-조직화하는 체계
5. 나가며: 자아에 관한 러시아적 모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로트만 문화 기호학에 있어서 러시아역사철학적 전통의 문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04 .01
바흐친과 다문화사회 담론
노어노문학
2012 .06
바흐친과 우리 : 사유의 수용과 전유, 변용의 문제
노어노문학
2017 .06
유리 로트만의 ‘수행적’ 주체: “일상행위의 시학” 다시읽기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3 .01
바흐친과 니체 저작에서의 몸 개념과 미학이론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4 .04
참된 자아를 찾아서
철학과 현실
1993 .06
자아
철학과 현실
1995 .06
[사상과 이론] '시장주의자' 바흐친
문화과학
2002 .12
한류 발전 지속가능성 연구 : 로트만의 이론을 바탕으로
슬라브학보
2015 .06
문화기호학과 폭발 - 로트만(Ю. Лотман)의 『문화와 폭발(Культура и взрыв)』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4 .01
말과 사건, 또는 문학의 역사적 운명 : 미하일 바흐친의 유물론적 문학이론
서강인문논총
2016 .04
소설, 아이러니, 리얼리즘 : 바흐친의 소설미학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6 .03
О 'границе' между Бахтиным и Лотманом: подход к понятию 'границы' в русскойтеории культуры
외국학연구
2013 .01
언어이론/바흐친의 유물론적 언어이론
문화과학
1992 .11
후설과 자아의 현상학 Ⅰ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3 .05
자아의 발달과 자아 실현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03 .06
로렌스의 시에 나타난 대화의 양상: 「석류」와 「뱀」을 중심으로
D. H. 로렌스 연구
2010 .01
후설과 자아의 현상학 Ⅱ
현상학과 현대철학
2003 .11
러시아적 일상과 두 이론: 형식주의 vs 바흐친
슬라브硏究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