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하나의 명제로 압축될 수 있는 방대한 역작
‘왜’에 대한 분석이 아쉬운 백서형 ‘지도’
보편적 적용이 어려운 ‘우연의 오류’
사건, 그러나 미완의 사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회적 사건의 생존주기유형의 정립 : 100대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0 .06
1987년과 미완의 연속혁명
마르크스주의 연구
2007 .05
과학보도의 사건기사화
관훈저널
2006 .03
사건을 통해 본 환경교육 제도화 과정의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6
노동시장연구와 사건사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8 .06
아이들은 미완의 부처
중등우리교육
1997 .09
意見書 : 사건번호: 2018다248909 손해배상(기) 사건_사건진행경과: 2018. 11. 29. 공개변론 후 현재 대법원 속행 중
법경제학연구
2018 .12
"한국사회의 이해" 사건을 통해본 학문의 자유
대학교육
1994 .01
세월이 흘러도 잊을 수 없는 세 가지 사건
초등우리교육
2001 .05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에 대한 고찰*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2019 .01
지난 한 세기의 대사건과 언론
관훈저널
2009 .12
형사소송법상 한개 사건의 의미
비교형사법연구
2004 .01
수평합병에 대한 규제당국의 판단과 시장반응의 비교
규제연구
2006 .12
[특집: 남한사회변혁운동사-조직사건을 중심으로] 60년대 조직사건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연구: '통혁당'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990 .07
「사회과학연구 제16집」을 펴내면서
사회과학연구
2000 .12
과학과 사회
중등우리교육
2000 .11
「사회과학연구 제15집」을 펴내면서
사회과학연구
199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