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수상하게 과도한 사건
그들은 몇 년 징역형을 받았을까?
비상식적이고 황당한 인간들?
대마초 사건은 저항에 대한 탄압이었나?
저항 혹은 퇴폐? 무엇을 노린 것일까?
화려한 `스리쿠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만공의 정신사와 총독부에서의 ‘禪機 發露’(1937) 사건
[TCHCCOS] 향토서울
2015 .10
[기획의 말] 시적 사건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 ― 시, 사건, (현)장
청색종이
2022 .03
사건 이후의 사건 – 촛불이 열어 놓은 시적 경로들
문학들
2018 .02
미소 관계 너머의 냉전사를 향한 두 시도: 스리나스 라가반의 1971: A Global History of the Creation of Bangladesh와 제레미 프리드먼의 Ripe for Revolution: Building Socialism in the Third World
서양사연구
2023 .05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2
문학들
2018 .02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 · 1
문학들
2017 .12
사건의 흔적
수필미학
2020 .03
올해 가장 시적인 사건 외 1편
문학들
2021 .05
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
남도문화연구
2015 .06
스코포스리론으로 본 한중번역작품 비평 :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16 .11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 심리술어와 양상구문의 사건논항과 내포의미론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6 .06
진행 중인 역사적 사건이 소설에 도입되는 방식들 : 세월호 사건 모티프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06
<감자>에 나타난 정신사건과 물리사건의 인과관계
현대문학이론연구
2019 .01
사건화하는 비평과 그 맥락에 대해 : 『사건의 시학』 / 최진석 / 도서출판 b / 2022_『사건과 형식』 / 최진석 / 그린비 / 2022
황해문화
2022 .09
「사건으로서의 ‘3.1 운동’과 주요한 시의 변모」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6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을 통한 안병무의 사건론의 재발견
대학과 선교
2023 .03
거대 사건 이론에 기반한 ‘V上N’ 구문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2 .08
읽기 사건의 선분성
한국초등국어교육
2020 .01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여순 10․19와 문학적 형상화
인문학연구
2019 .01
바디우의 사건 개념에서 ‘결정불가능성’의 의미: ‘68혁명’과 이승우의 『사랑의 생애』를 예로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