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김억의 격조론
3. 이병기의 격조론
4.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초기 시의 ‘격조’와 ‘정형성’ 연구
우리말글
2007 .04
김억의 근대적 민족시형의 구상
우리말글
2014 .12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 : 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한국현대문학연구
2014 .04
베를렌느 시 번역을 통해 본 김억의 자유시 모색과 실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1 .12
근대 초기 시론의 탈근대적 성격 : 김억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1 .12
근현대 시조의 격조 연구 : 이병기, 이호우, 김상옥을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2018 .07
시가(詩歌)의 이상(理想), 노래로 부른 근대 : 김억의 유성기음반 가사와 격조시형
한국근대문학연구
2007 .10
김억의 ‘조선심’과 ‘격조시형론’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08 .06
고시조와 현대시조, 그 이어짐과 벌어짐의 사이
시조학논총
2008 .01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1 .09
1930년대 ‘전통’ 인식과 시조담론
한국문학논총
2013 .01
한글문예운동과 근대 서정시의 규범 만들기 : 이병기의 시조혁신론
돈암어문학
2014 .12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
시조학논총
2014 .01
한국 시조문학의 존립기반과 그 본질에 관한 시고
시조학논총
2003 .07
시조의 漢詩譯과 漢詩의 時調譯의 문제점 연구
시조학논총
2007 .07
전통지향과 근대지향의 간극을 넘어서 : 가람 이병기의 근대의식
국어문학
2018 .11
한국의 자유시와 정형시의 관계
한국시학연구
2001 .05
김억 문예비평에서 음률(音律)의 문제
한국시학연구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