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전후파‘문학의 교섭과 확산: 육체담론의 형성과 문화적 소통
Ⅲ. 저항적 문화담론으로서의 육체문학론
Ⅳ. 결론 : 육체담론의 서사적 전략과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 : 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비평
2017 .02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The Political Economy of Security : South Korea in the Cold War System
Korea Journal
1998 .12
냉전과 교육 : 1950/60년대 동독의 정치교육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09 .08
영화를 통해 본 냉전 : 1950/60년대 동독 냉전 영화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08 .03
냉전의 다양한 모습
역사비평
2013 .11
한국전쟁기 전쟁시의 국가주의의 시선
한국시학연구
2008 .04
한국과 냉전 : 제 2냉전 성립기의 KAL기 격추사건과 그 종식기의 서울올림픽이 냉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3 .06
전쟁문학론의 전개와 폭력의 내면화-식민지 말과 한국전쟁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4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ld War in Korea : Entangling the Domestic Politics with the Global Cold War in 194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1 .12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비평
2010 .05
한국전쟁기 38선 북진과 냉전의 고착화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5 .12
The Strategy for One Korea, and the Third War
신학논단
1994 .06
냉전과 ‘원숭이’ 표상
사이間SAI
2018 .01
‘정사’ 대 ‘비사’ - 1950년대 미국의 6·25전쟁사 연구와 냉전문화
역사비평
2020 .05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 특별한 피난체험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4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