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조선성리학자의 육왕학에 대한 일반적인 衆評
3. 心卽理에 대한 오해
4. 良知에 대한 오해
5. 知行合一說에 대한 오해
6. 親民과 新民에 관한 논쟁
7. 나오는 말
「조선성리학자의 양명학 비판 논거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논평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브리노의 基督論 비판
신학과세계
1981 .10
퀴어가 특수하지 않은 시대가 오기를 바라며 : 윤재민의 해설 「캡사이신 폭탄에 치즈를 곁들인 ‘빨간 맛’을 음미할 줄 아는 고독한 미식가들을 위한 알려지지 않은 케이팝 모음집」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비판
자음과모음
2020 .06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 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 [1]
양명학
2012 .04
왕부지의 양명학 이해 및 비판에 관한 연구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10
류건휴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영남학파의 양명학 비판
양명학
2009 .12
지금 우리에게 양명학은 왜 필요한가
지식의 지평
2013 .11
양명학과 강화양명학 소개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10
문화비판으로서의 언어비판
철학과 현실
1988 .03
비판적 합리성의 구조
철학사상
2004 .12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한국사 시민강좌
2007 .02
〈양명학 교육 방안 연구〉를 읽고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사회이론적 비판과 사회과학적 설명 : 마르크스의 과학적 비판에서 바스카의 설명적 비판으로
철학논총
1999 .12
특집1 :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한다 1930년대 일제의 '조선공업화'론 비판
역사비평
1995 .02
뿍맨운동과 그비판
신학지남
1935 .01
명대 양명학자의 시대정신과 현대 양명학자의 과제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10
비판'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인물과사상
2000 .07
양명학 제10호를 발간하며
양명학
2003 .08
비판이론의 문화비판 : 호르크하이머의 종교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