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한반도 분할의 역사적 기원
Ⅲ. 강화회담의 시작과 할지의 초기 논의 : 대동강이냐 함경-평안도냐, 1592년~1593년 초
Ⅳ. 일본의 割地요구와 沈惟敬 - 고니시의 항복문서 조작 : 반분선의 대두, 1593~1596
Ⅴ. 明의 종주권 확보 노력과 조선의 강화반대, 1593~1594
Ⅵ. 강화 결렬과 전쟁의 재발, 1596~1597
Ⅶ. 맺음말 : 16세기 분할안의 무산이유와 역사적 의미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진왜란 :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분석
한일관계사연구
2008 .08
Korea and Japan
Korea Journal
1967 .08
근대 일본의 豊臣秀吉ㆍ임진왜란에 대한 인식
역사와경계
2007 .09
임진왜란 연구의 제 문제 -임진・정유재란 발발 원인에 대한 재검토-
한일관계사연구
2020 .02
한일협정 후 한국 지식인의 일본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011 .09
秋浦 黃愼의 대일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4 .01
Korean Studies in Japan
Korea Journal
1985 .12
韓日兩國의 歷史認識問題
사학연구
2003 .12
한일관계, 무엇을 할 것인가?
한국여성신학
2019 .06
韓・日關係의 問題와 對應方法
日本語敎育
2019 .01
언론을 통해 본 한일협정 인식 50년
역사비평
2015 .05
조선 선조대 柳根의 대외관계 활동
한국인물사연구
2011 .03
개화기(1876~1910) 한국인의 일본관
사학연구
2004 .12
근세 초기 일본의 임진왜란 담론 형성과정 -인용에 의한 담론 생성-
日本學硏究
2011 .01
龍州 趙絅의 대일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임진왜란 직후, 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
2007 .09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연구
2018 .05
독도 영유권에 대한 전후 연합국의 영토처리
일본문화학보
2020 .05
한국의 평화선과 일본의 대응한계 : 일본의회 독도관련 속기록을 중심으로(1952~1953)
일본문화학보
2010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