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장근 (대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일본문화학회 일본문화학보 日本文化學報 第85輯
발행연도
2020.5
수록면
103 - 127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Dokdo as Japanese territory for the effects of Sebold is the U.S. Department of State recognition. But Britain, New Zealand, Australia, and so forth, a Commonwealth country said Dokdo is Korean territory. U.S. State Department personnel should be Dokdo is Korean territory in geography. So, Dokdo is Korean territory before the merger, ambassador in charge of San Francisco Peac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Dokdo is Korean territory should be. But Dean Rusk in the U.S. State Department has secretly sent a letter that Dokdo is Japanese territory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ebold’s like this people affected, said Dokdo is Japanese territory. In the end, the Allies established a policy to suspend the status of uninhabited islands in territorial disputes, and to govern them as trusts. Dokdo was an uninhabited island. In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finally, not territory measures is a special about the status of Dokdo.

목차

1. 들어가면서
2. 종전 직후 연합국군 최고사령부의 독도영토와 해양경계 조치
3. 대일평화조약 준비과정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시볼드의 역할
4. 대일평화조약에서의 독도 영유권에 미친 러스크 서한의 영향
5. 맺으면서
【참고문헌】
〈要旨〉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913-00066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