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1880년대 후반부터 청일전쟁까지의 豊臣秀吉 인식
Ⅲ. 청일전쟁 직후 豊臣秀吉 인식의 큰 변화
Ⅳ. 1898년 豊臣秀吉三百年祭
Ⅴ. 20세기 전반 豊臣秀吉 인식
Ⅵ.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진왜란 :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분석
한일관계사연구
2008 .08
근세 초기 일본의 임진왜란 담론 형성과정 -인용에 의한 담론 생성-
日本學硏究
2011 .01
信長・秀吉の語り方
日本學硏究
2018 .01
근세 초기 도요토미 히데쓰구(豊臣秀次)에대한 인식과 권력
日本學硏究
2018 .01
임진왜란의 국제정치학 : 일본의 조선분할요구와 명의 對조선 종주권 확보의 대립, 1592~1596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2 .12
한ㆍ중 역사 교과서의 왜란 서술 내용 분석
사학연구
2009 .12
임진왜란기 대마도의 조선 교섭
동북아역사논총
2013 .09
종교와 전쟁: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日本學硏究
2006 .01
임진왜란 연구의 제 문제 -임진・정유재란 발발 원인에 대한 재검토-
한일관계사연구
2020 .02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기에 나타난 조선상
역사학보
2003 .03
임진왜란사의 庚寅通信使 관련 역사서술의 문제
한일관계사연구
2012 .12
니시키에[錦繪]를 통해서 본 근대천황상과 조선 멸시관의 형성
동북아역사논총
2013 .12
임진왜란의 경험과 역사 정리 작업 - 신석겸의 『선묘중흥지』를 중심으로 -
韓國史學史學報
2012 .01
임진왜란시기 일본의 병량미 보급과 그 정책 : 제1차 침략전쟁의 초기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06 .04
壬亂時 投降倭兵에 대하여
한국사연구
1971 .09
錦溪 魯認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3 .01
전국시대 일본 예수회의 적응 선교의 한계 -『일본제사요록』과 『일본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20 .04
Japanese Studies in Korea
Korea Journal
1965 .06
太閤記物・朝鮮軍記物の近代
日本學硏究
201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