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 논문개요
영문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주체사상과 북한의 역사교육
Ⅲ. 북한 『조선력사』교과서에 나타난 “동학농민전쟁“
Ⅳ.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학농민전쟁과 미술 : 한국 현대 역사화의 도도한 흐름을 일구다
역사연구
2015 .06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 동아시아적 시각과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12 .04
갑오 농민 전쟁과 동학
동학연구
2002 .09
영국 농민반란과 동학농민혁명의 반봉건적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동학연구
2006 .09
『동학사』의 제1차 동학농민전쟁 전개과정에 대한 서술 내용분석
한국사연구
2015 .09
동학농민전쟁을 찾아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3
동학농민전쟁과 태평천국농민전쟁의 비교연구 : 두 농민전쟁의 목표와 유가사상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08 .12
동학·동학농민전쟁과 여성
동학연구
2002 .02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적 전개와 과제
역사연구
2015 .06
최근 북한의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연구 현황
역사연구
2019 .06
역사수상 동학농민전쟁 백주년을 되돌아보며
역사비평
1995 .02
동학농민군의 저항문화와 상징
역사연구
2018 .12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사회성과 기념공간 연구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7 .05
농민전쟁의 계승과 그 계보
역사연구
2014 .12
동학농민혁명 지역별 사례 연구의 성과와 전망
역사연구
2014 .12
정창렬의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내용과 의의
한국인물사연구
2016 .09
최근 북한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동향과 특징
민족문화연구
2007 .01
[기조발제]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성격 : 농민의 관점에서
역사연구
201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