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마천(司馬遷)의 '복수(復讐)의 인문학'-《사기(史記)》〈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다시 읽기(2)
중국문학
2024 .08
조선전기 議政府 堂下官의 구성과 운영 변화
한국사학보
2022 .08
송대 對遼 첩보조직 및 운영 연구
동양사학연구
2020 .09
『춘추집해(春秋集解)』를 통해 본 소철(蘇轍)의 춘추학
인간연구
2024 .08
春秋時代美學思想形成初探 - 以 『易傳』, 『考工記』, 『樂記』 爲中心
동서철학연구
2015 .06
서파(西陂) 유희(柳僖)의 {춘추괄례분류}에 보이는 {춘추} 범례 분류의 특징
한국철학논집
2017 .08
출토자료를 통해 본 ‘天’의 本義와 변천 연구
중국어문논총
2020 .01
춘추초기 서, 북의 족국들과 접경 - 有銘 청동기의 출토지와 銘文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0 .05
춘추전국시대의 벗 담론
중국문학
2021 .11
새 발굴 가사집 『춘경가(春景歌)』 작품 세계 연구
국문학연구
2019 .01
북송 소철 춘추학의 왕안석 비판과 그 함의
동양사학연구
2020 .09
中國 名言의 초기 형성과정과 ‘引用’의 관계
중국어문논총
2016 .10
朱子의 『春秋』 해석방법론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2015 .01
Breeding of new silkworm variety, ‘Chilseongjam’ with peculiar laval mark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2018 .01
춘추전국의 말듣기와 말하기 담론 - 수사학의 개화 -
수사학
2023 .12
胡安國의 『春秋』 해석을 통해 본 宋代 春秋學의 특징
동양철학
2015 .01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 - 「봄·봄」과 『다시, 봄·봄』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2 .06
천운영 소설의 야생 이미지와 ‘견딤’의 인간학
문학과환경
2021 .03
조선중기 내수사(內需司)의 운영과 공사(公私) 논쟁
역사교육논집
2019 .01
五行의 원시적 배속과 상호관계 - 『左傳』과 『國語』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