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박영(朴英)의 문호(門戶) 개창과 송당(松堂) 문인들
Ⅲ. 을사사화 시기 피해를 입은 ‘범송당학파’ 계열 인사들
Ⅳ. 을사사화, 권력투쟁 혹은 사상투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묘사화의 전조(前兆)와 논쟁의 담론
역사학보
2025 .03
戊午士禍를 둘러싼 정치론의 갈등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2015 .03
새 유교 세대의 출현: 사림의 유교화 정풍운동 -사림파 학설 비판과 그 대안 설명-
서강인문논총
2024 .12
1930년대 소련 군부 숙청의 원인 ― 적군(赤軍) 기병 지휘관의 이력 분석을 중심으로 ―
이화사학연구
2019 .01
같은 인연, 다른 길-호당수계(湖堂修契) 제현의 배경, 현실 그리고 기억-
동양한문학연구
2015 .06
『기재기이』의 간행(刊行) 주체와 그 지향
우리문학연구
2021 .01
송당학파(松堂學派)의 도학(道學)정신에 내재된 사상적 특성
동아인문학
2018 .12
16세기 士禍와 忠淸左道 士林動向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3 .11
인물사 서술의 관점에서 본 1920~30년대 사화(史話)와 역사문학론 연구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연재 사화를 중심으로-
어문학
2021 .12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본 사림파와 훈구파의 변별성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2 .10
About the Tradition of Writing the “Fu on the Terrace for Viewing Fish”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12
16세기 사림의 성장과 노촌(老村) 이약동(李約東)
대구사학
2016 .01
‘전쟁영웅’의 이면, 밴 플리트의 대한 민간투자 유치 활동
역사비평
2018 .11
내암 정인홍의 문학정신과 현실인식
국제언어문학
2020 .08
Faction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Realignment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2018 .03
고려 말~조선 전기 ‘정치 세력의 이해’ 다시 보기
역사비평
2017 .08
제주4 · 3과 신화의 전유
동악어문학
2020 .10
규원사화에 보이는 과학적 사유와 세계관
동서철학연구
2018 .01
을사사화기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을 둘러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학연구론총
2019 .01
스탈린정권기 한인 혁명가 탄압의 변곡점 - 옛 ‘서상파’ 출신 혁명가들의 숙청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