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도학운동의 배경과 전개
Ⅲ. 박영의 도학사상
Ⅳ. 박영 이후 송당학파의 도학사상
Ⅴ. 송당학파 도학사상의 특성과 한계
Ⅵ. 나오는 말-송당학파의 위상과 평가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송당 박영의 도학적 학풍과 성리학적 사유
한국학논집
2017 .03
旅軒學과 구미의 유학 전통− 지역 儒賢에 대한 여헌의 계승 의식에 주목하여 −
동양고전연구
2015 .01
旅軒 張顯光의 學問成就와 마음이해에 관한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6 .12
을사사화 시기 송당학파(松堂學派)의 수난과 사화의 성격
역사학보
2024 .12
행주(幸州)와 덕양(德陽)의 지명 유래 관련 공간성의 어문학적 고찰
우리어문연구
2016 .01
여헌 역학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
동양철학
2021 .12
朝鮮前期 寒暄堂 道學의 位相과 역할
동양철학연구
2015 .01
회재 이언적의 도학적 사유와 학술사상 - ‘독락(獨樂)’과 ‘리(理)’중시 경향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9 .01
한려 이후 조선 후기 낙중학의 전개
한국학논집
2015 .03
제주4 · 3과 신화의 전유
동악어문학
2020 .10
복재(服齋) 기준(奇遵)의 도학 사상과 그 실천
온지논총
2024 .07
죽정竹亭 장잠張潛의 삶과 도학사상
한국학논집
2016 .12
芝山 道學詩에 나타난 一理論과 空間의 關係
국학연구론총
2021 .12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의 도학정치관과 처세관
율곡학연구
2020 .01
畿湖學派의 한문 학습 차제와 체계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2020 .01
한중(韓中) 도학적 성향의 한시 영향 연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22 .03
‘簒奪’이란 이름으로 단죄된 ‘改革’ : 고독한 改革家 王莽의 理想國家
동양사학연구
2017 .06
신당新堂 정붕鄭鵬 도학의 형성과 전개 : <안상도案上圖>와 『대학大學』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6 .12
15C후반 성리학적 문예관의 내면화 경향과 그 사회적 동인(動因) - 관료구성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美學(미학)
2016 .06
임란 직후 선산지역 旅軒學團의 활동
남도문화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