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7~18세기 전반 인삼무역의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
탐라문화
2017 .06
19세기 영국신문에 나타난 인삼(ginseng)
영국 연구
2015 .01
17-18세기 영미권의 인삼(Ginseng) 인식
의사학
2016 .08
만주족과 인삼, 인삼설화
동아인문학
2019 .12
서양의학에서의 인삼활용과 한계, 1660-1900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의사학
2017 .12
청대 길림의 재배삼과 자연환경
동국사학
2022 .04
근대 국제 협약의 홍삼무역 규정과 그 특성(1876~1894)
한국사학보
2021 .05
대한제국 시기 인삼업의 변화와 특징 -개성 지역 이외의 인삼 재배지를 중심으로-
학림
2021 .09
개항 후 조선의 포삼정책과 홍삼의 어용화(1876~1894)
한국사연구
2021 .09
‘인삼’이라는 창을 통해 바라본 동양과 서양 설혜심, 『인삼의 세계사: 서양이 은폐한 ‘세계상품’ 인삼을 찾아서』 (휴머니스트, 2020)
서양사론
2020 .01
1930년대 백삼 통제의 전개와 개성상인 간 갈등 연구
역사연구
2019 .12
개항 후 청상의 불법 홍삼무역(1883~1894)
한국사연구
2022 .12
인삼에서 ‘Ginseng’으로 ? Made in Choseon의 ‘해피 드러그’ ?
日本思想
2021 .01
인삼첨가량에 따른 살균 인삼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5 .01
‘東藩’에서 ‘誠信’으로 : 17세기 후반 對馬藩의 외교적 수사 전환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조선후기 한일 양국의 譯官記錄과 倭館
한일관계사연구
2018 .02
The Red Ginseng Trad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1876~1894) : Focusing on Envoy’s trade and Royal Trade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3 .06
/서 평/ 사물의 어긋난 역사 설혜심, 인삼의 세계사: 서양이 은폐한 ‘세계상품’ 인삼을 찾아서 (휴머니스트, 2020)
영국 연구
2020 .01
16世紀 對日貿易의 展開와 葛藤
역사학보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