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형호 (무형문화연구원)
저널정보
경기민속학회 경기민속학 경기민속학 제7호
발행연도
2023.12
수록면
85 - 123 (3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2022-2023년에 시민기록가 중심으로 조사 작성한 의왕의 초평동 마을지를 대상으로 조사방식, 조사내용, 의미, 보완할 점등을 중심으로 작성했다.
이번 초평동 마을지는 시민기록가 9인이 22인의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집중 조사해서 작성했다. 조사영역은 마을역사, 의식주, 생업, 세시풍속과 민속신앙, 일생의례, 놀이와 여가, 가문 등의 민속분야를 중심으로 접근했으며, 조사방식은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구술 채록 중심으로 했다. 구술자 중심 시각을 바탕으로 조사자 중심시각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작성했다.
조사내용을 지역민의 삶의 의미와 관련 짓는다면, 첫째,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삶은 공동체적 장례, 생업의 두레와 품앗이, 집단놀이로서 윷놀이와 농악, 세시풍속의 각종 나눔과 공유의 민속 등에, 둘째, 자연친화적인 삶의 방식은 생업의 수도작, 우렁농법과 두엄만들기, 자연신앙으로서 달맞이, 지신밟기, 업신앙 등, 또한 자연 중심생활용구, 자급적 식생활, 자연순환 중심 절기, 자연순응적인 세시 등에, 셋째, 안정된 삶에 대한 희구는 세시적 불과 달의 신앙, 세시신앙적 고사, 금기와 길조의 정화 등에, 넷째, 강인한 삶의 방식은 논농사와 밭농사, 여성의 시장 판매, 여성의 가사노동과 출산 및 육아, 남성 중심의 농업과 목축, 시제, 각종 의례 등에 나타난다.
조사 내용으로 보아 음식문화, 여성생업, 세시풍속, 장례풍속, 우렁농법, 시제, 밭농사 등은 비교적 조사가 충실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민속놀이, 시집살이와 여성 삶의 과정, 두레와 품앗이, 마을 계와 조직, 혼례과정과 통혼권, 출산의례 등은 소략하거나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시민기록가 중심의 초평동 마을지는 앞으로 의왕에서 지속적인 마을지와 민속분야별 자체 조사가 가능하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 다만 지속적인 자체 학습을 통해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하며, 또한 다른 지역과 비교 및 항목에 대한 의미 부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앞으로 개발에 의한 마을소멸에 대비해서 지속적으로 유무형 자료를 확보해 마을기록관을 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의왕 지역 마을조사의 의미
2. 초평동 마을지의 조사방식
3. 초평동 마을조사에 나타난 민속의 다양한 양상
4. 초평동 마을민속에 나타난 지역민의 삶의 의미
6. 지속적인 조사의 방향성과 보완 사항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