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신앙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민속신앙의 하나로,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여 대부분 해마다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세시풍속이다. 그 기원은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와 같은 국중대회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민속문화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기 때문에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지역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 내에서도 마을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이유로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을신앙의례는 1년에 한두 차례 정기적으로 거행되는데 마을주민들 전체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의 평안, 풍요, 번영 등을 기원한다. 이 글은 마을신앙 조사보고서, 논문, 시 · 군지 등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국 12,196개 마을의 제의명칭을 분석한 것으로, 이 중에서 59%인 7,161개의 마을에서 제의가 전승되고 있다. 제의명칭은 산신제, 동제, 당산제, 당제, 성황제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명칭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의명칭의 지역적 분포에 따라 문화권역을 추정해 보는 데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을신앙의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특성 때문에 문화권역을 설정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동일한 제의명칭이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어느 정도의 권역 설정은 가능하였다.
Village ritual is one of the folk beliefs that is nationally distributed. It is held every year on a regular basis with a village as the unit of transmission.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mon folk phenomenon in Korea. However, because a village is the transmission unit, i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ach region shows different features. Thus, it is universal, yet it is also an individual folk phenomenon. Village rituals are regularly held once or twice a year, and an entire village participates directly or indirectly to pray for the village’s peace, abundance, and prosperity. This study analyzed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nd the months the ceremonies were enacted by 12,196 villages, which were confirmed by research reports, dissertations and city/county newsletters. Among them Dong-je has been transmitted in 7,161 villages, which is 59% of the total number of villages.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re, Sansin-je, Dong-je, Dangsan-je and Seonghwang-je, in the order of their distribution order. They displays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regions, and they also have various names. The times for the ceremonies mostly fall in January and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 ceremonies exhibit a variety of feature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ossible determination of the culture areas according to the names of the village rituals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by looking at the months of the ceremonies. As mentioned earlier, because of the universal b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Rituals, and be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spects and passing on,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However, by focusing on certain areas where the same names are intensively distributed,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to some de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