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문화적 외상의 확장과 연결의 감각
3. 침묵이 일으키는 폭력과 일본군 ‘위안부’의 상흔
4. 고통의 공감을 넘어서 기억의 윤리로
5.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연극적 재현과 ‘포스트-기억 세대’의 시선 : 김민정 희곡 <하나코>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2020 .10
외상의 질곡에서 그녀들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 :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3 .02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국제협력
문화와융합
2024 .07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부인(denial)의 정치학 : ‘『제국의 위안부』 사태’ 다시 읽기
한국여성학
2017 .09
단순 및 복합외상 유형 집단의 자기-와 타인-개념의 차이: 자극 제시시간에 따른 정보처리 편향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21 .01
일본군 ‘위안부’운동과 시인(recognition)의 정치 : 한국의 사회적 기억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8 .09
‘PTSD 시대’의 고통 인식과 대응 : 외상 회복의 대안 패러다임 모색
인지과학
2015 .06
대학생의 성역할과 외상 후 반응의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5 .01
한국군에 대한 사회적 기억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22 .07
외상 환자 진료 체계의 변화가 외상 환자의 응급실 체류 시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7 .10
교통사고 가해자의 외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2019 .01
경남지역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기억의 연대
한국여성학
2022 .12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외상 강도에 의해 조절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01
여성가족 정책사 현장 재조명 :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자료 분석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6 .06
증언문학에서의 서사적 재현과 환상의 역능 - 일본군 ‘위안부’ 소설을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22 .10
일본군‘위안부’의 포스트 콜로니얼 (post-colonial) 경험: 서발턴(subaltern) 여성과 일상 속의 트라우마
젠더와 문화
2022 .12
대리외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6 .01
대인외상 경험자의 거부민감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3 .03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강제동원과 성노예 - 공창제 정쟁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
페미니즘 연구
2019 .10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페미니즘과 내셔널리즘의 역학관계 - 트랜스내셔널 페미니즘의 구축과 한일 여성연대 가능성
아시아여성연구
202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