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눌에게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인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2022 .03
무심 외 1편
시조시학
2019 .12
Hyobong Sŭnim and “Studying Chinul” (Hangnul學訥): The Centrality of Chinul’s Excerpts (Chŏryo節要) to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보조사상
2017 .01
Chinul’s Chan Hermeneutics Beyond Historicism and Internal Dynamics : Chinul’s Reconfiguration of Dahui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7 .04
회암정혜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에 대한 관점
보조사상
2022 .11
1930년대 후반 작고 작가 애도문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김유정과 이상의 죽음에 제출된 애도문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8 .09
조선시대의 지눌사상 이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18 .01
Chinul’s Empty and Quiescent Spiritual Knowing (kongjŏk yŏngji 空寂靈知) and Ignatius of Loyola’s Indifference and Discernment of Spirit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19 .01
지눌과 경봉의 ‘간화(看話)’에 대한 이해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淸虛 休靜의 禪敎 이해
불교학보
2017 .06
『筆削記』와 이후 『起信論』 주석서의 『宗密疏』 수용 ― 『起信論』「立義分」에 대한 『筆削記』·『私記Ⅰ』·『私記Ⅱ』의 해석을 중심으로 ―
불교철학
2020 .01
[학술대회 논문] 조선 불교에 미친 보조 지눌의 유풍
철학사상
2023 .08
이별이 무심하려면
월간에세이
2022 .01
『법화경』에서 법사행으로서 법공양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23 .06
선사상에서 해오(解悟)의 함의
불교학연구
2023 .03
조선후기 蓮潭과 仁岳의 華嚴十地私記 비교연구 - [화엄경소초] 麗字卷 私記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
2018 .01
‘Spirituality of Self-emptying’ Seen through Chinul's Chŏnghye Kyŏlsa and Luther's Protestant Reformation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19 .12
근대 불교계의 보조지눌에 대한 인식과 계승
보조사상
2020 .01
원효와 지눌의 돈점관-깨달음과 닦아감을 중심으로-
불교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