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안미영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 어문연구 제115권
발행연도
2023.3
수록면
193 - 219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 근대 문단에서 웰스(Herbert George Wells 1866~1946)는 정치사회 사상가로서 주목을 받았다. 반면 그의 장편 과학소설은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웰스의 과학소설이 한국 근대 문단에서 활발하게 수용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한국의 근대 과학과 교육에서 찾지 않고 웰스의 장편 과학소설에서 찾았다. 이를 위해 웰스의 장편 과학소설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1895), 모로박사의 섬The Island of Dr Moreau (1896) 투명인간The Invisible Man (1897), 우주전쟁The War of Worlds (1898)을 텍스트로 삼아 작품에 등장하는 과학자를 분석한 결과, 19세기 말 과학자가 지닌 세 가지 조건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학문’으로 과학을 연구한 이력,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실험실, 체계적인 과학지식(진화론) 세 가지를 갖추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힘을 만들어 내기 위해 과학 지식을 토대로, 실험실에서 대상을 통제하고 변화시킨다. 웰스의 과학소설이 한국에 처음 소개되던 1920~30년대, 한국 근대소설에는 ‘실험’보다 ‘발명’이 더 가능한 영역으로 묘사된다. 1920~30년대 한국 근대 문단에서 웰스가 정치사상가로서 부각 된 데는 식민지 조선이 직면한 정치적 난제와 해결을 염두에 둔 것일 테지만, 그에 앞서 과학 연구의 기반이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과학지식이 널리 보급되지 않은 데 있다. 웰스의 과학소설은 1960년대를 전후하여 완역되기 시작하는데, 설령 한국 근대 문단에 번역되었더라도 작품에 적용된 과학원리를 온전히 수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과학의 힘은 인지했으나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실험실의 미비, 과학지식 보급의 한계로 인해 과학 이론이 적용된 소설에 대한 이해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웰스의 과학소설에 나타난 과학자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1920~30년대 한국 근대 문단과 서구 문명 간의 낙차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