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I. 들어가는 말
II. 주자 신유학과 이승기기(理乘氣機) 명제
III. 태극ㆍ리의 동정(動靜) 개념 확인
IV. 리와 기의 불상잡(不相雜) 원칙
V. 리와 기의 불상리(不相離) 원칙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유학의 형이상학 전환 — 이체기용(理體氣用)에서 이승기기(理乘氣機)에로 —
동양철학연구
2019 .01
주희 신유학(新儒學)의 관점에서 본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의 이기론
동양철학
2015 .01
조선 말기 心說論爭의 성격과 의의
퇴계학보
2022 .06
주희(朱熹)의 호상학(湖湘學) 비판에 관한 연구- 공부론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
2020 .01
Modern Times and Modern Rites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8
作用因과 目的因으로서의 理 이해 -理의 두 원인적 성격의 다스림 : 質料性과 主宰性-
퇴계학논집
2023 .06
朱熹 “理氣論”과 성경속의 “靈”·“肉” 談論
한중언어문화연구
2020 .01
첫 번째 원칙은 ~
유레카
2023 .11
주자학의 미발(未發) 개념 정립 과정
양명학
2016 .08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 -“리동(理動)·리발(理發)·리도(理到)” 이해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017 .01
늦게 핀 매화는 한가로운데 -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의 사상사적 좌표에 대한 시론(試論) -
한국사상사학
2016 .01
신유학 3파의 이름과 대안의 모색
철학
2016 .05
유교의 명상법
철학논총
2018 .01
화서 이항노의 성리설 쟁점에 대한 해석- 우암 송시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
2016 .01
주리·주기 논쟁과 대순사상의 체용 구조에 관한 시론 - ‘리의 用’과 ‘신의 發’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6
삼원 사고와 퇴계의 사단칠정론
퇴계학논집
2017 .01
이이(李珥)의 이기론과 구체성의 철학 - 실존현상학의 관점에서
율곡학연구
2022 .09
퇴계 리발(理發) 설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유학연구
2016 .02
이이의 리통기국 이론의 형이상학적 결여(缺如)
철학사상
2015 .05
신유학 개념은 타당한가? -신유학 개념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유학의 ‘새로움’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