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정기탁에 관하여
3. <애국혼> 상영 전
4. 상하이에서 상영한 <애국혼>
5. 각지에서 상영한 <애국혼>
6. 영화 <애국혼>의 영향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그의 위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12
1909년 안중근의 이토 사살 사건에 대한 국내 주요 언론의 보도와 지식인의 반응
역사와 담론
2021 .04
安重根 義士를 題材로 한 중국 詩歌 연구 Ⅰ — 시가 개관과 안중근 애도·찬양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2 .11
안중근 의사를 제재로 한 중국 시가 연구Ⅱ ― 특별한 타자 및 제삼자적 인식과 감정의 표현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2 .12
안중근을 노래하다: 안중근 관련 한국 시가 연구
국문학연구
2024 .05
안중근 의거에 대한 미국 언론의 반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0 .05
불멸, 영웅, 하얼빈: 의거 100주년 안중근의 세 가지 형상
춘원연구학보
2023 .12
中國革命派報刊對“安重根義?”的報道
중국학
2021 .12
影响与接受:朴殷植「安重根传」与中国近现代文学的安重根叙事
한중인문학연구
2020 .01
남북한의 안중근 인식 비교
인문과학연구
2023 .09
보도되는 안중근의 목소리와 식민지배 담론의 분열─ 신문연재소설로서의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門)』 ─
일본학보
2021 .11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의 반향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0 .02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한국어 ‘X+중(中)’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2022 .08
안중근의 〈편지〉와 하얼빈 5일(1909.10.22~26): 거사의 구상과 귀결
역사학보
2025 .03
협(俠)과 액션, 동아시아 액션영화의 역사적 기원 - 정기탁의 〈애국혼〉과 상하이 무협영화
한국현대문학연구
2020 .08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의 「편지」와 「전언」, 조작과 실체
역사비평
2023 .02
안중근 의거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1909년부터 1910년까지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안중근 家 여성의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조마리아?안성녀?오항선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