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선상화 김수현 (선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지 제32권 제3호
발행연도
2023.6
수록면
269 - 283 (15page)
DOI
10.5934/kjhe.2023.32.3.269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perception clarity on the psychological parentaliz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84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OVA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follow. First, psychological parentaliz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nd self-differentiation. Second, psychological parentalization was higher in the past when economic conditions were worse, and self-differentiation was lower except for emotional reactions. Thir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parentalization on self-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prevent psychological parentalization, and that emotional awareness clarity can be useful in promoting self-differentiation in college stud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590-00178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