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오정환 (일리노이대학교) 노기웅 (광운대학교) 박석 (광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인문사회과학 편)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575 - 588 (14page)
DOI
10.35159/kjss.2023.04.32.2.57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Grounded in the theoretical model of systemic school reform (S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n a unifi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E) in the United States (US). In total, 15 elementary PE teachers (female=8, male=7) were purposefully selected to participate in formal interviews. The interview data inductively analyzed were reinterpreted and tested based on the SR model. The themes that emerged indicated a nationwide curriculum has the potential to help students enhance fundamental motor skills and basic movements by unifying primary components of education. However, it would not function well in the US in which constitutional power is shared among nation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longstanding tradition of polyphonic federalism would prompt greater policy variability among elementary PE programs in attempts to minimize these differences. Curriculum reform for elementary PE must occur through careful revisions for the current model of standards-based learning, but not total standardization for curricul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692-001454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