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인균 (신라대학교)
저널정보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언어와 정보사회 언어와 정보 사회 제24권
발행연도
2015.3
수록면
49 - 72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investigate a grammatical form ‘(i)seo’(‘(이)서’) in the sort of ‘dul-i-seo’(‘둘이서’)and ‘meolli-seo’(‘멀리서’) diachronically. First of all, ‘i’(‘이’) in the sort of ‘dul-iseo’in a modern language should analyze by a subjective case particle or a nounderivational suffix as diachronic. And we asserted that ‘seo’(‘서’) is that the inflectionalform ‘(i)syeo’(‘(이)셔’) of substantive verb ‘(i)si-’(‘(이)시-’) is by form that gothrough a grammaticalization and that form ‘seo’ is a auxiliary particle sticking to‘honja’(‘혼자’) that functions an adverb as a noun originally as well as ‘dul-i’(‘둘이’) form (that show dual structure). Also, we saw a subjective case particle ‘i’ anda auxiliary particle ‘seo’ corporation in ‘dul-i-seo’ go through a grammaticalization,that is to say, a particlization agai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diachronicchange about ‘meolli-seo’(‘멀리서’), we grasped that the form ‘meolli-seo’has a dual characteristic that can see as the structure combining a adverb ‘meolli’(‘멀리’) and a auxiliary particle ‘seo’, similarly with ‘honja-seo’(‘혼자서’) or as thestructure combining a noun ‘meolli’ and an abbreviation ‘seo’ of an adverbial caseparticle ‘eseo’(‘에서’).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