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한국문학사에 나타난 항일문학과 친일문학 기술양상
비교문화연구
2018 .01
중국과 한반도에서의 ‘민족’ 개념의 인식과 갈등구조
현대중국연구
2018 .01
북 리뷰: 《민족》_‘민족 내 분열’과 ‘민족 간 갈등’을 심도있게 파헤친 명작
신문과방송
2020 .11
정당성의 정치와 북한의 민족재건설 - 주체, 우리 식, 우리민족제일주의
북한연구 시리즈
2023 .02
다문화사회를 전제한 통일준비과정에서 민족의 의미에 대한 헌법적 재해석의 필요성
법조
2024 .08
중학교 역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 비판 -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
2019 .12
작은 섬 큰 문학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민족의 개념 : 국민과 종족 사이
21세기정치학회보
2015 .09
정당성의 정치와 북한의 민족재건설 : 주체, 우리 식, 우리민족제일주의
다문화사회연구
2017 .02
북한의 민족건설과 두 개의 ‘민족론’ : ‘통일론’과의 긴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19 .03
민족의 통일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독일 문학의 예를 중심으로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이음체의 관점에 기초한 민족과 민족주의의 한국적 재구성
국제정치연구
2021 .03
5・18문학 40년 연구사의 맥락과 재해석
감성연구
2020 .01
북한의 민족주의와 문화변용 : 김정은 시대 북한 문화의 변화
문화정책논총
2017 .08
한국 민족주의의 두 가지 길 박정희와 김대중의 연설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현대정치연구
2021 .04
민족의 기원을 찾아서–한국 상고 민족 담론의 창안-
한국문화연구
2019 .01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
2017 .01
김달수의 「후예의 거리」 연구‒도쿄의 모조도시인 경성에서 부유하는 지식인들‒
일본근대학연구
2018 .01
박현채의 민족경제론: 민족의 미학화를 넘어
뉴 래디컬 리뷰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