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고조선단군학
2019 .06
조선 후기의 좋은 집터, 이상적 거주공간의 이론과 실제―『임원경제지』 「상택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9 .01
动机与社交网站过度使用的关系研究
문화와 예술연구
2019 .01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에 사용된 회(灰)의 특성 연구 - 하남 감일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2019 .01
하남 교산동 건물지의 조사성과와 역사적 가치 및 활용 방안
고고학
2024 .04
성남 고등동 회곽묘 삼물회의 배합비 분석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확산과정과 특성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조선시대 봉수대의 건물지 고찰
석당논총
2020 .01
신라 황복사지(皇福寺址) 동편 폐고분지(廢古墳址)의 성격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전북 동부지역 제철유적 현황과 그 시론
건지인문학
2020 .01
세계연속유산 고창 고인돌 유적의 관리 연구와 활용방안 - 영국 스톤헨지와 에이브버리 거석유적 사례와 비교-
호남고고학보
2020 .01
河南地域 文化遺蹟에 對한 硏究成果 檢討와 課題(Ⅱ) - 불교와 보존 및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문화사학
2021 .06
콕샤로프카 유적의 식물유체로 본 발해와 한반도의 관계
인문학연구
2015 .01
‘기억의 장소’ 또는 노스탤지어 서사
사림
2018 .01
A Review of the Songguk-ri Sit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고역사유적 활용방안 : 경기 하남 이성산성의 예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8 .03
울산지역 일제강점기 건물지에 대하여 : 울산 한지골유적Ⅰ 건물지를 중심으로
울산사학
2016 .12
한강 하류역 구석기유적의 조사와 그 성과
고조선단군학
2023 .08
Field monitoring and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dragon swallowtail Sericinus montela (Lepidoptera: Papilionidae), a vulnerable specie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2024 .09
호남지역 고려사지의 가람배치와 조영적 특징
한국중세고고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