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1990년대 ‘요하문명론 - 장백산문화론’과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의 발굴
Ⅲ. 백두산 서편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과 여명 고제단
Ⅳ. 요서 우하량 유적 및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
仙道文化
2018 .02
고려시대 관련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전망
사학연구
2018 .12
Relic Wary : Facets of Buddhist Relic Veneration in East Asia and Recent Schola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12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한사오궁 소설의 새(鳥) 토템에 관한 고찰 -창장유역의 신석기 새 유물과 관련하여-
건지인문학
2019 .01
백제의 남근형 상징물과 그 의미
사림
2021 .01
혼술의 시간
월간에세이
2024 .11
The Heart of Buddhist Ritual : Relics, Reliquaries, and Ic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12
발해 상경∼장령부 구간 영주도 노선상의 24개돌유적 현황과 역참 가능성 탐구
백산학보
2018 .01
`졸혼`을 하지 못하는 이유
인물과사상
2017 .05
BP 36,000-30,000년 만경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분포와 성격
건지인문학
2016 .01
서울 동남권 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유적 경관 검토
[TCHCCOS] 서울과 역사
2023 .06
요서와 요동지역 적석총문화의 상관성 검토
유라시아문화
2020 .02
신라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발생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
2016 .01
비혼은 뭐라고 번역해야 할까?
번역하다
2024 .07
예언자 무함마드의 성스러운 망토의 여행 :성유물의 역사와 그 의미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2
유물 이해 교육을 통한 역사적 사고력 신장 방안 :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어린이와 박물관 연구
2018 .06
학습자료로서 正倉院 소장 유물의 활용 검토
신라사학보
2020 .12
신라 사리장엄구와 중국 불교문화의 상관성 연구
불교학연구
2019 .01
경주 쪽샘유적 적석목곽분의 특징과 과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