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장진엽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널정보
한국한문고전학회 漢文古典硏究 漢文古典硏究 제43권 제1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55 - 205 (5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牧隱 李穡은 질병 및 정치적 소외로 인해 오십 대부터 자신을 노년으로 인식하였다. 오십 대 초중반에 해당하는 多作期의 작품들에는 작가 자신의 삶을 제재로 한 시들이 많은데, 여기에 ‘노년/노쇠함’이라는 특질을 가진 시적 화자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색의 작품 속에서 노쇠함은 시적 대상이라기보다는 시적 화자의 목소리를 규정하는 주된 특질로서 나타난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노쇠한 시적 자아’의 성격과 태도를 살펴보는 방식을 통해 이색 한시에 나타나는 노년/노쇠함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학적 주체’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문학적/시적 주체’는 “작가 및 현실 세계의 부분적 반영인 동시에 그것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목소리로서, 한 작가의 전체 작품 속에서 연관된 속성을 지니며 상호 간에 계열 관계를 이루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적 자아 또는 작품 속 발화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색 한시에서 ‘노쇠함’의 시적 자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성격의 주체로 나타난다. 첫째는 회고와 탄식의 주체이다. 이 주체는 국자감 유학과 한림원 재직 시절을 자랑스럽게 회고하기도 하고, 원나라의 쇠망에 대해 통한하거나 공민왕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기도 한다. 이처럼 시적 자아의 ‘노쇠함’은 상실한 것들을 떠올리게 만드는 자질인데, 각각의 대상에 따라 발현하는 정서는 조금씩 달라진다. 두 번째는 성찰과 관조의 주체이다. 성찰의 주체는 명리를 좇았던 지난날을 반성하며 삶의 유한성을 덤덤히 받아들이는 한편, 귀거래하지 못하고 현실에 매여 있는 자신을 책망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城南에서 한적한 생활을 영위하며 機心을 잊은 物外의 존재로 자신을 형상화하고, 存心養性의 내면 수양에 정진할 것을 다짐하기도 한다. 이 두 가지 태도는 노쇠함과 정치적 소외라는 현실적 난관을 문학적으로 수용, 극복하려는 기제로서, 세상 만물을 ‘관조’하는 흔들리지 않는 자아의 수립을 지향한다. 성찰의 주체가 관조의 주체로 비약한 것이다. 세 번째는 수용과 긍정의 주체이다. 이색의 노년시에는 老境의 한가로운 정취와 고요한 내면, 詩作 능력에 대한 자부심이 종종 표현된다. 수용의 주체는 노쇠함으로 인해 얻게 된 것들을 긍정적으로 의미화한다. 이런 작품들에서 시적 자아는 도연명과 같은 지극한 경지에 도달해 있다. 이는 작가 이색의 실제 모습이라기보다는 시인의 염원을 구체화한 하나의 가상이라는 성격이 짙다. 그러나 문학적 주체의 기능을 염두에 둘 때, 이와 같은 자기 긍정은 노쇠한 시적 자아의 성취인 동시에 ‘노쇠함’이라는 현실의 난관에 맞서 자신의 중심을 수립하려는 작가 이색의 ‘문학적’ 성취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남은 문제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이색의 육십 대 작품에 나타나는 노년의 모습이다. 작품 분량상 균형이 맞지 않아 일률적으로 논할 수는 없지만, 유배기의 작품에서도 성찰과 관조, 수용과 긍정의 주체가 여전히 발견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는 무력한 자신의 처지를 분명히 받아들인, 보다 안정된 자의식을 가진 시적 자아가 느껴지기도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한시 문학에서의 주체 개념의 유효성 문제이다. 주체 개념의 활용은 한시에서의 작가와 표현의 문제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시도된 것이다. 향후 이에 관한 발전적인 논의를 제출할 것을 기약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