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20년대 중국의 한인정책과 만주 한인문제를 둘러싼 한중일의 이해관계
한중인문학연구
2021 .12
1920년대 만주 다베이거우(達貝溝) 토지분쟁을 둘러싼 한인과 중국인의 갈등
대구사학
2024 .09
일제의 만몽정책에 대한 한중의 인식비교
동양학
2017 .01
중일전쟁 종전 뒤(1945~1948년) 국민정부의 만주지역 한인정책
대구사학
2016 .01
만주와 중국 관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사와 특징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24 .09
코로나·팬데믹과 재일외국인의 사회적 영 : 재일동포사회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2021 .10
揚州藏經院 각판과 한국인 저술판에 관한 연구
중국어문학
2019 .01
창과 방패의 딜레마: 1929년 제3회 IPR회의의 만주 논쟁
중국사연구
2015 .01
망국과 실향의 한(恨), 만주 디아스포라를 돌아보다: 1930년대 ‘만주개척단’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6 .01
박영준 문학이 기억하는 만주 - 1941년과 1974년의「밀림의 여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3 .04
琿春事件과 중국정부의 대응
인문학연구
2023 .03
1920년대 만주 한인과 중국인의 토지분쟁 양상과 변화 -達貝溝村 토지분쟁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24 .09
3·1운동에 대한 중국정부의 인식과 대응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6
1920년대 조선 지식인의 만주 기행문에 나타난‘중국(인) 인식’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表象된 空間 ‘滿洲’ : 조선총독부 편찬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6 .05
중국 산둥성 칭다오의 한인사회와 광복 직후 집중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5
1920년대 在滿韓人社會主義者들의 항일투쟁 노선 변화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7 .01
해방이후 시에 재현된 만주의 기억
우리문학연구
2019 .01
元代 滿洲지역의 주요 교통로와 중심 거점 -만주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022 .05
1920년 ‘4월참변’ 후 일본의 통제와 블라디보스토크 조선인거류민회
역사연구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