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20년대 만주 한인과 중국인의 토지분쟁 양상과 변화 -達貝溝村 토지분쟁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24 .09
20세기 초 滿洲 韓人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
역사학연구
2021 .11
1920년대 중국의 한인정책과 만주 한인문제를 둘러싼 한중일의 이해관계
한중인문학연구
2021 .12
중일전쟁 종전 뒤(1945~1948년) 국민정부의 만주지역 한인정책
대구사학
2016 .01
일제의 만몽정책에 대한 한중의 인식비교
동양학
2017 .01
만주사변에 대한 중국의 인식변화 추이 - 「人民日報」와 「光明日報」를 중심으로 -
역사학연구
2021 .11
만주와 중국 관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사와 특징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24 .09
코로나19와 중남미 한인사회: 멕시코와 브라질의 경험
재외한인연구
2022 .02
동북아시아의 전쟁과 난민 : 만주사변(9.18), 피난 한인의 위기와 그 현재적 의미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3 .01
중국 산둥성 칭다오의 한인사회와 광복 직후 집중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5
한인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적응에 대한 질적연구: 중국 조선족과 재일한인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15 .01
琿春事件과 중국정부의 대응
인문학연구
2023 .03
망국과 실향의 한(恨), 만주 디아스포라를 돌아보다: 1930년대 ‘만주개척단’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6 .01
재태 한인교회 현황
미션인사이트
2016 .02
1945~1946년 중국 우한 지역 한인의 수용과 귀환 - 일본군 ‘위안부’를 중심으로 -
역사와실학
2021 .04
해방기 시에 나타난 만주상상력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7 .01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Making Meaning of Ethnic Enclaves: The Korean Diaspora in the Washington DC Area
재외한인연구
2015 .01
중일전쟁(中日戰爭) 시기 난징(南京) 한인의 군상(群像) ― 통계와 표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17 .01
1920년대 조선 지식인의 만주 기행문에 나타난‘중국(인) 인식’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한인의 다롄 이주와 민족사회의 형성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