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理學과 心學, 그 간극 극복의 과제 - 주자의 만년설과 퇴계의 문제의식 -
퇴계학보
2021 .12
사칠설에 나타난 신후담의 사유방식
태동고전연구
2020 .01
중헌(重軒) 황철원(黃澈源)의 노사학(蘆沙學) 계승양상 일고- 「太極圖」 이해를 통한 리발론(理發論)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20 .01
퇴계의 양명학 비판과 조선유학의 성립
퇴계학보
2020 .01
理氣經緯의 형이상학과 도덕적 인간학
동양철학연구
2021 .08
‘四端理發而氣隨之’ 해석의 쟁점
퇴계학보
2023 .06
원효의 삼세육추(三細六麤)설과 이황의 사단칠정(四端七情)론의 통로
한국불교사연구
2017 .06
李瀷과 愼後聃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
철학연구
2017 .02
『入學圖說』의 심성론에 대한 철학적 재해석
퇴계학보
2020 .01
《唐詩三百首》의 현실 반영 작품의 수록경향 및 기준
중국문학연구
2018 .01
退溪思想體系硏究를 위한 小考 – 그 리기묘합적(理氣妙合的) 사유 –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주자학 심성론과 예학의 관계 고찰 Ⅲ - “예를 통한 심의 통제[以禮制心]” 측면에서의 예학 회귀 사조 원인 분석-
퇴계학보
2023 .06
陽村 權近의 “天人心性合一”論 淺析 : 敬에 기초한 ‘心學’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 퇴계退溪와 고봉高峯의 학술적 교류와 도덕적 탐색
국학연구
2016 .04
주자학 심성론과 예학의 관계 고찰Ⅰ - 심의 주재작용과 분화의 측면에서의 예학 회귀 사조 발생원인 분석 -
퇴계학보
2022 .06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히나』고찰
일본어문학
2015 .01
阳村权近之“天人心性合一”论浅析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栗谷의 四端七情論에서 中節의 의미
한국학연구
2016 .09
이황의 理學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 서경덕의 氣 일원론적 입장에 대한 비판의식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대동철학
2023 .03
체화된 평가로서의 감정과 감정의 적절성 문제
인간·환경·미래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