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연속체 사용 연구 : 초급 학습자의 구어 발화 분석을 바탕으로
동악어문학
2019 .10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 및 발달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습득 연구 -대화 기반 종적 구어 말뭉치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어문연구
2019 .01
중간언어 연구에 있어서 학습자 말뭉치의 활용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수준별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조사 오류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어문논총
2022 .08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에 대한 계량적 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서의 ‘은/는’과‘이/가’의 분포와 조사 선택 요인 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2017 .01
한국어교육 60년을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의 변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01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구어성 조사 선정 연구
영주어문
2020 .01
Research Methods for Korean Language Learner Corpus Analysis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한국어 학습자 문법 습득 연구를 위한 구어 말뭉치 구축과 활용
한국어학
2019 .05
제3언어(한국어) 습득에서 제2언어(일본어)의 영향 연구 -한국어 조사 오류 양상을 통해-
언어학연구
2024 .08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누락 오류 연구 ―베트남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학습자 문어 말뭉치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21 .08
일본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조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언어와 문화
2017 .01
모범 예시문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어문논총
2016 .08
학습자 언어 연구 자료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활용 방안 모색
언어사실과 관점
2021 .01
한국어 학습자 글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 중급 학습자의 통제된 글쓰기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6 .01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와 쓰기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종단적 연구
우리말글
2017 .09
日本語学習における中級停滞者の言語学習ビリーフ - 中級停滞者と上級学習者の比較を通じて -
일본어학연구
2022 .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사이버대학 한국어 전공생을 중심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