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승연 (서울시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한국어학 제83권
발행연도
2019.5
수록면
69 - 95 (27page)
DOI
10.20405/kl.2019.05.83.6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6)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process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corpu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grammatical enhancement. Furthermore, by utilizing a part of corpus that is being established, we examin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adverbial case markers within the speeches of beginner level learner. Prior to the research, we focu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universality of the procedure for acquiring grammatical morphemes, and the learnability hypothesis. Under the research design of collecting speeches of learners for 18 months, we discussed the difficulties that occurred when establishing spoken language corpus and the corresponding solutions. Moreov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ed data we analyzed a part of the corpus to inspect the emergence of adverbial case marker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adverbial case markers ey and eyse emerge in early stage and are frequently utilized. lo, lang, eykey, and chelem also appear at early stages, and hako and hanthey start to be used relatively later.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배경
3. 구어 말뭉치 구축의 절차 및 쟁점
4. 학습자 문법 발달 양상 : 부사격 조사를 중심으로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5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01-000789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