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왕아남(王亞楠)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동양한문학회 동양한문학연구 동양한문학연구 제63권
발행연도
2022.10
수록면
93 - 125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조선 문인의 蘇軾의 題畫詩 수용 방식은 주로 次韻과 활용이다. 차운으로 된 蘇詩의 주류 수용 방식과는 달리, 소식의 題畫詩에 대한 수용은 시구의 활용에서 뚜렷이 드러나며 ‘활용을 주로 하고 차운을 부로 한다.’는 특징을 띠고 있다. 또 그밖에 ‘和蘇詩’이 택한 ‘동일화’ 수용의 방향 보다 蘇軾의 題畫詩 활용이 더 다원적인 면모를 잘 보여준다. 서화를 대상으로 하는 題畫詩는 저명한 서화 작품을 언급하며 시인의 심미 취향을 드러내고 서화 이론을 담았기 때문에, 특별한 미학적 가치와 의미를 갖추고 있다. 한편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서화 작품의 전입과 유통이 상당히 국한되어 있던 조선 시대에 있어 蘇軾의 題畫詩에 대한 수용이 곧 서화 지식을 학습하는 중요한 방식이 되었다. 이에 蘇軾의 題畫詩에 대한 수용의 의의는 서화에 관한 用事를 넓히고 서화 명작을 숙지함에 있다. 조선 한시에 수용된 蘇軾의 題畫詩의 用事는 23건이나 되며, 서화 명가ㆍ서화 일화ㆍ서화 이론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일부 用事가 蘇軾이 題畫詩에 최초로 사용한 창의적인 用事라는 데 있다. 이런 창의적인 用事에 대한 수용은 조선 문인의 한시 창작의 소재를 크게 넓혔다. 한편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중국의 서화 작품을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조선 문인에게 있어 대량의 서화 작품을 다룬 蘇軾 題畫詩는 곧 서화 작품을 알아보고 관련 지식을 학습하는 중요한 방식이 되었다. 그러므로 蘇軾 題畫詩를 통해 조선 문인들 사이에서 ‘王晉卿의 산수’ㆍ‘趙昌의 花草’ㆍ‘文同의 墨竹’ㆍ‘郭熙의 秋景’ㆍ‘韓幹의 말’, 그리고 「青李來禽帖」ㆍ「煙江疊嶂圖」 등 서화 명작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