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서론
2. 가례용 시저의 종류와 사용: 혼례와 연향용
3. 흉례의 시저의 종류와 사용: 빈전, 혼전, 산릉용
4. 길례의 시저의 종류와 사용: 정제와 속제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고자료로 본 조선시대의 젓가락 연구
문물연구
2016 .01
우리의 쇠젓가락, 과거로부터 미래를 지향한다
박물관학보
2019 .01
朝鮮初期 國家儀禮 정비의 지향과 원칙- 吉禮·凶禮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5 .01
일본 상차림에서 수저의 문화학 : 한ㆍ일 비교문화론을 위한 시론
일본문화학보
2016 .05
일본 상차림에서 수저의 문화학 : 한ㆍ일 비교문화론을 위한 시론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고려시대 국왕 관련 의례 연구의 성과와 제언
동방학지
2019 .01
明代 儀禮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俗祭의 성격
동아시아고대학
2021 .12
조선총독부 제정 「의례준칙」의 보급과 시행실태
민속학연구
2016 .12
젓가락을 찾아 나선 우리
월간에세이
2018 .01
누구라도 숟가락을 얹을 수 있는
제3시대
2019 .10
숟가락 외 1편
창비어린이
2017 .12
육례절차의 儀器 陳設과 시간 질서
동양학
2019 .01
조선 초기 王室祖上儀禮의 유교적 정비
한국사학보
2017 .02
조선시대 국가제사용 도자제기陶磁祭器의 종류와 성격
국학연구
2023 .07
조선 초기 종묘 親享儀의 禮樂 구성
한국사학보
2022 .02
대한제국기 明時曆의 국가·왕실 祭慶節 시간문화 양상과 조선왕실 정통계보학 재구성 연구
장서각
2018 .04
청동기시대 儀禮 연구와 그 방향성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2019 .01
통일신라시대 식도구 연구 - 숟가락과 의례 -
석당논총
2019 .01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상고사학보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