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서론: 디지털 소통의 도래와 디지털 레토릭의 요청
2. 디지털 레토릭 구축의 타당성
3. 결론: 디지털 레토릭 구축의 타당성 확인 이후의 과제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담화’의 개념 및 내용 연구
한말연구
2022 .12
중국 수사학의 의미와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수사학
2016 .04
세계 속의 한국 수사학 : 한국수사학회 21세기 국제학술교류의 역사
수사학
2015 .09
공자의 수사관(修辭觀) 고찰 : 『논어』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5 .12
(Re)Tasking Literacy for The Digital Age
동유럽발칸연구
2023 .05
수사학이 유용한 이유들에 대한 검토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1355a20-1355b7을 중심으로
수사학
2019 .04
Effects of Culture on L2 Writing: A Case Stud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21 .12
浅析汉语佛源熟语的辞格运用
수사학
2021 .09
설득의 수사학에서 저항의 수사학으로 : 외모지상주의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5 .09
한국 수사학과 텍스트 언어학 비교연구
언어와언어학
2016 .01
성인학습자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인식 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2024 .05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에 전개된 해석학과 사랑의 수사학
철학논총
2016 .04
고대 로마의 연설가와 수사학 - 모의연설 교육의 의의 -
역사교육
2022 .06
중국 수사학에 대한 소고 - 서양 수사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수사학
2020 .12
시진핑 시대 중국공산당의 정치적 레토릭에 관한 연구 ―‘항미원조 정신’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2 .12
17세기 한시 수사법의 일면 - 무하당(無何堂) 홍주원(洪柱元)을 중심으로 -
수사학
2023 .09
韓國學生作文中的漢語修辭偏誤現象
중국어문학논집
2019 .12
중국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 2010~2017년 영화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8 .12
디지털 소통과 국어교육
한글
2017 .09
수사학,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독교 설교의상호적 이해와 적용
신학과 사회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