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명칭의 주도권 확보: 장백산 명칭으로의 일원화
Ⅲ. 역사적 귀속권 논리의 강화: 장백산문화론
Ⅳ. 민족적 귀속권 논리체계의 구축: “백두산 =만주족의 발상지”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양인과 "거인"의 근대조선 여행기: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기행문을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1 .01
신화에서 만나는 백두산
월간에세이
2020 .10
중국에서의 ‘滿洲(長白山) 主人論’의 表象化 작업과 의미
중국사연구
2019 .01
19세기 말 20세기 초 백두산에 대한 인식변화
역사민속학
2017 .12
중국의 백두산 관광정책과 뉴패러다임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중국의 ‘백두산공정’ : ‘長白山文化建設工程’에 관한 試論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06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 시각/음성 경관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7 .12
신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白頭山 여행과 그 의미― 申光河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7 .01
조선 후기 백두산 기행문을 시각화하여 재해석한 백두산 경관
열상고전연구
2023 .06
중국의 ‘창바이산문화론’과 백두산 전유화(專有化)
동북아역사논총
2022 .12
연변 조선족 시인들의 시에 나타난 백두산의 의미 : 전후 냉전 시기(1953~1990)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6 .09
제14차 5개년 계획 시기 중국의 백두산 연구와 개발의 새로운 추세
동북아역사논총
2024 .12
王綿厚의 ‘長白山區系’論과 중국 長白山文化論의 현단계 -王綿厚의『長白山區系考古與民族要論』(遼寧人民出版社,2022)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23 .08
백두산의 눈물 - 최연근
시조시학
2016 .06
그림책 백두산 이야기의 출간 의의 고찰
동화와 번역
2019 .01
18세기 전반 洪重一의 백두산 기행문에 관한 연구
대동문화연구
2018 .01
백두산 관련 구비전승 설화의 신화적 성격-이주민 화자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24 .06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동북아역사논총
2022 .06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고조선단군학
2019 .06
청조 발상지 악다리성(鄂多理城) 논의에 대한 재검토 : "둔화설’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