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Sang Hoon Choi (Seoul National University) Gyeung Mi Seon (Seoul National University) Quang Canh Vo (Seoul National University) Gitae Son (Seoul National University) Hyeong-Cheol Y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저널정보
대한치과재료학회 대한치과재료학회지 대한치과재료학회지 제49권 제4호(통권 제136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141 - 151 (11page)
DOI
10.14815/kjdm.2022.49.4.14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존 연구에서 포스파티딜세린(PS)은 대식세포의 PS 수용체와 결합하여 사멸세포의 항염증 작용을 모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S로 표면 개질된 PLGA (polylactide-co-glycolide) 나노입자가 마크로파지 분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mulsificationsolvent-evaporation (ESE) 기법을 활용하여 포스파티딜콜린(PC)과 PS를 함유한 PLGA 나노입자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PC 100% (PCnP) 2) PS:PC=50:50 (PSPCnP) 3) PS 100% (PSnP). PS를 함유한 PLGA 나노입자는 LPS에 의한 M1 마크로파지로의 형태변화 및 M1 마커 (TNF-α, IL-1β, IL-6, IL-12p40, CD86, iNOS)의 mRNA 발현을 저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양성대조군 및 인지질이 부착되지 않은 PLGAnP군에 비해 PSPCnP군에서 TNF-α, IL-6, IL-12p40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염증을 약화시키고 약물 전달 시스템을 조절함에 있어 PS 이식 PLGA 나노입자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