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과거 제도의 변화와 논쟁의 전개
Ⅳ. 인재 선발과 육성에 있어서의 시학의 가치
Ⅴ.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試析明朝文臣出使朝鮮中的“卻女樂”問題 -以倪謙出使朝鮮爲中心-
인문학연구
2019 .01
『윤지당유고』의 傳에 구현된 여성관 연구-「송씨능상부」,「최홍이녀」를 중심으로 -
漢文古典硏究
2022 .12
19세기 후반 결사단체의 佛書 編刊 배경
한국불교사연구
2017 .06
『세종의 고(苦)』를 읽고
인문과 예술
2018 .01
스물네 살 - 義士 조명하 외 1편
시조시학
2019 .09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역사와실학
2021 .08
세종시의 지역 정체성과 세종의 인문정신
한국학연구
2016 .03
'세종한국어' 기반 문화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세종한국어' 1-4권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5 .01
13~14세기 몽골제국 勅令制度 硏究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8
온라인 세종학당 운영을 위한 발전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2022 .05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 정책 : 세종특별자치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09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운영 현황과 향후 발전을 위한 제언 : 하노이2 세종학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2017 .02
조선 전기의 貢女와 그 친족에 대한 시혜 -明 경태제 모후 오척(吳倜)의 딸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2017 .01
세종대왕의 음악관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세종실록을 통해 본왕세자(문종) 교육의 특징
역사교육논집
2019 .01
비대면 시대의 한국어교육의 전망과 과제 -온라인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2 .05
조선 초 ‘칙찬권계서(勅撰勸戒書)’의 수용과 『삼강행실도』 편찬
한국사상사학
2017 .01
세종의 왕도정치에 미친《大學衍義》의 영향 -《세종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17 .01
조선의 冕服: 정치와 외교의 修辭
역사민속학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