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머리말
2. 태조대 면복 제도의 제정: 신국가 기반의 정립
3. 태종대 명 면복의 요청: 정권의 정당성과 우호적 외교관계 구축
4. 세종대 면복 착용 범위 제한: 王者의 권위 확립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세종실록을 통해 본왕세자(문종) 교육의 특징
역사교육논집
2019 .01
조선 초기 여진 관계의 변화와 동북면 지역 진출 과정 : 世宗 14년(1432) 영북진 설치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7 .03
高句麗王號 ‘太祖王’의 정립 과정과 의미
한국사연구
2017 .09
오묘제를 통해 본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 변화
신라사학보
2021 .08
3세기 이전 고구려와 동부여의 관계에 대한 재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23 .06
조선초기 종교 심성의 전환과 불교-제의 감각의 변환의 시각에서 본 佛事 인식
불교학연구
2019 .01
『세종의 고(苦)』를 읽고
인문과 예술
2018 .01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역사와실학
2021 .08
1898년 독립협회의 정치기획과 ‘충군애국(忠君愛國)’
역사와현실
2018 .03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 : 왕의 정당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글
구약논단
2017 .12
일성록 전최 계본(殿最啓本) 번역 방법론의 모색
민족문화
2022 .11
17세기 정의현감 김성구金聲久의 제주도 인식과 업무 수행 — 『팔오헌집八吾軒集』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3 .03
최치원 찬술 신라 국왕 表文의 작성 시기와 배경
신라사학보
2022 .12
영웅시에 투영된 왕의 이상적 이미지
신영어영문학
2015 .02
웹툰 〈왕 그리고 황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기법과 의미
우리문학연구
2018 .07
태종대 정몽주 추증(追贈)의 정치사적 의미 - 조선 창업 과정에 대한 명분적 정리 -
포은학연구
2019 .01
신라 중고기 영토 확장과 정치집단의 역동적 대응
역사학연구
2020 .01
고구려 王系의 성립과정과 시기
한국고대사연구
2016 .09
조선 세조의 당 태종 통치서에 대한 인식과 통치철학 원용의 리더십
동서철학연구
2019 .01
0